이번에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발표한 신생아 특례대출이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얼마를 벌든 출산만 하면 저금리 대출을 지원해주겠다고 하는데요, 해당 포스팅으로 한번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
신생아 특례대출 최저 1% 금리로 집을 살 수 있습니다.
사실 신생아 특례 대출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저출산에 대한 대책인데요,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2년 이내에 아기를 낳아 기르는 무주택 가구에 해당할 경우 해당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2023년 태어난 아기부터 적용되고, 2024년 2월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표
주택구입자금 대출 | 전세자금 대출 | |
소득 | 1억 3천만원 이하 | |
자산 | 5억 600만원 이하 | 3억 6100만원 이하 |
대상 주택 | 주택가격 9억 이하 | 보증금 수도권 5억, 지방 4억 이 |
대출 한도 | 최대 5억원 | 최대 3억 |
소득별 금리 | 8500만원 이하 : 1.6 ~ 2.7% | 7500만원 이하 : 1.1 ~ 2.3% |
8500~1.3억 : 2.7 ~ 3.3% | 7500~1.3억 : 2.3 ~ 3% |
신생아 특례대출은 주택 매매와 전세 모두 적용이 됩니다. 금리는 소득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그래도 시중에 나와있는 대출 상품들에 비하면 이율이 훨씬 낮습니다.
기존 대출보다 훨씬 유리!
신혼부부나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들을 위한 버팀목 대출이나 디딤돌 등 기존 정책 금융 상품보다 신생아 특례 대출은 소득 기준과 대출 한도가 훨씬 유리하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출산을 하면 비싼 집을 살 때도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주겠다라는 저출산 대책 정책이라고 합니다.
과연 해당 정책으로 저출산 극복 가능할까?
신생아 특례대출은 2023년 이후 태어난 아기부터 해당되기 때문에 그 전에 출산한 가구들은 적용을 받지 못합니다.
정부는 출산율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가 집값이라 판단하고, 출산 대책과 함께 부동산 시장도 부양하기 위해 정책을 내놓은것 같아보입니다.
과연 주택구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하는게 저출생 극복이 가능할까요? 그래도 기존 대출보다는 확실한 강점이 커서 출산 및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는 분께는 좋은 기회가 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년 만기 주담대 만 34세 이하 연령제한 두는 이유! (0) | 2023.12.24 |
---|